JPA는 데이터 베이스의 pk 외래키를 관리하기 위해 두 객체 사이의 연관 관계에서 하나의 주인을 선정한다.
특히 다대일 관계에서는 데이터베이스 특성 상 항상 다 쪽이 외래키를 가지기 때문에 객체 관계에서도 다 쪽이 주인이 된다.
따라서 주인만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고 주인이 아닌 쪽은 데이터를 읽기만 가능하다
그럼 주인을 어떻게 지정해주냐?
바로 해당하는 클래스의 컬럼에 @JoinColumn을 지정해주고
매핑 되는 클래스의 컬럼에는 @OneToMany(mappedBy = "컬럼네임")을 통해 양방향 설정을 해준다.
다음 예시는 매핑 관계의 주인을 통해 데이터를 추가한 코드이다.
public class Member {
...
@ManyToOne
@JoinColumn(name = "TEAM_ID")
private Team team;
...
}
public class Team {
...
@OneToMany(mappedBy = "team")
private List<Member> members = new ArrayList<Member>();
...
}
Team team = new Team();
em.persist(team);
Member member = new Member();
member.setName("LSH");
member.setTeam(team);
em.persist(member);
위 코드는 당연한 이야기지만 Member 테이블에 생성한 team의 id가 들어가 있을 것이다.
그럼 반대로 연관관계의 주인이 아닌 team에서 member를 설정하면 어떻게 될까?
Member member = new Member();
member.setName("LSH");
em.persist(member);
Team team = new Team();
team.getMembers().add(member);
em.persist(team);
분명 team에는 해당 member를 add를 통해 넣어줬지만 member 테이블에는 team_id가 설정이 안되어 있다.
따라서 연관관계의 주인만이 외래키를 관리할 수 있음을 확인해봤다.
하지만 이런 양방향 관계에서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.
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베이스고 객체는 객체이다. 맨 처음 코드처럼 주인을 통해 member를 통해 team을 세팅해줬다고 해도 team 객체에서는 member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.
Team team = new Team();
em.persist(team);
Member member = new Member();
member.setName("LSH");
member.setTeam(team);
em.persist(member);
Team findTeam = em.find(Team.class, team.getId());
System.out.println("========================");
for (Member findTeamMember : findTeam.getMembers()) {
System.out.println("findTeamMember = " + findTeamMember);
}
System.out.println("========================");
member에 세팅해놨던 team을 그대로 조회해서 team에 등록된 member를 조회했다. 하지만 아무 것도 출력되지 않는다.
따라서 우리가 작업하는 환경에서는 관계가 맺어져있지 않아 버그로 이어질 수 있다.
이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객체 상태에서 따로 추가해주는 코드를 해줄 필요가 있다.
member에서 setTeam을 해줄 때 team에다가도 member를 추가해주는 로직을 추가해보자.
public void setTeam(Team team) {
if (this.team != null) {
this.team.getMembers().remove(this);
}
this.team = team;
team.getMembers().add(this);
}
그럼 다음과 같이 객체 상태에서도 서로 관계를 맺어줄 수 있다.
set을 하기 전에 remove를 해주는 이유는 해당 member가 다른 team으로 이동하게 되면 기존에 남아있던 team은 여전히 member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해당 관계를 끊어주고 새로운 팀과의 관계를 맺어주기 위함이다.
'Study > JP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PA] 프록시와 연관관계 (0) | 2023.09.08 |
---|---|
[객체지향쿼리] JPQL, Criteria, 네이티브 SQL, QueryDSL, JDBC Connection (0) | 2023.08.29 |
[JPA] 상속 관계 매핑과 @MappedSuperClass (0) | 2023.08.26 |
[JPA] 다대다 매핑 (0) | 2023.08.26 |
JPA, JPQL 이란? (1) | 2023.08.24 |